9.5 )
현재 Travis CI, S3, CodeDeploy 연동 구현 완료
이것을 기반으로 실제 jar를 배포하여 실행 하겠습니다.
- deploy.sh 파일 추가
- 프로젝트 환경에 sript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deploy.sh를 생성합니다. (p. 358 참조)
- .travis.yml 파일 수정
- 현재는 프로젝트의 모든 파일을 jar파일로 만드는데,
- 실제로 필요한 파일들은 Jar, appspec.yml 배포를 위한 스크립트 파일들입니다.
- 그래서 .travis.yml의 before_deploy를 수정합니다. (p. 361 참조)
- appspec.yml 파일 수정
Travis CI, CodeDeploy 에서 성공 메세지를 확인하고
웹 브라우저에서 EC2 도메인을 입력해서 확인해봅니다.
실제 배포 과정 체험
build.gradle 에 프로젝트 버전 변경
- version '1.0.1-SNAPSHOT'
간단하게 변경된 내용을 알 수 있게
src/main/resources/templates/index.mustache내용을 변경합니다.
...
<h1>스프링 부트로 시작하는 웹 서비스 Ver.2</h1>
...
커밋과 푸시 후 변경된 코드가 배포된 것을 확인합니다.
9.6 )
AWS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CodeDeploy 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로그 찾는 방법을 모르면 오류를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CodeDeploy에 관한 대부분 내용은 /opt/codedeploy-agent/deployment-root 에 있습니다.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후
- cd /opt/codedeploy-agent/deployment-root
목록을 확인해 보면
CodeDeploy의 로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 367 참조)
'프로그래밍 > 스프링 부트와 AWS로 구현하는 웹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 Travis CI 와 AWS S3, CodeDeploy 연동하기 (0) | 2020.11.18 |
---|---|
9.3 Travis CI와 AWS S3 연동하기 (1) | 2020.11.16 |
9.2 Travis CI 연동하기 (0) | 2020.11.14 |
9.1 CI & CD 소개 (1) | 2020.11.14 |
8.5 EC2에서 소셜 로그인 하기 (1)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