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고글쓰기

[12가지 인생의 법칙:혼돈의 해독제] - 법칙 1: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라

바닷가재와 굴뚝새

바닷가재와 굴뚝새에게 중요한 공통점이 하나 있다.

"다른 많은 동물처럼 지위와 영역에 집착한다는 점이다"

 

흔한 닭들의 세계에도 '모이를 쪼아 먹는 순서'가 있다.

 

영역을 지배하던 바닷가재가 패배하면 그 바닷가재의 뇌 구조는 완전히 해체되어 약자에 적합한 새로운 뇌가 만들어진다.

영역 지배자 시절의 뇌는 약자로 전락한 후의 상황을 감당할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완전한 해체와 재형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랑을 잃거나 직장 혹은 사업에서 큰 실패를 겪은 후 고통스러운 변화를 경험한 사람이라면, 

영역의 지배자에서 패배자로 추락한 바닷가재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은 원래 불평등하다

승리를 거둔 상대가 다시 승리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뜻

프라이스의 법칙 : 관련 업계 종사자 수의 제곱근에 해당하는 인원이 전체 생산량의 50%를 만들어 낸다는 내용

파레토 분포 : 전체 부의 80%를 전체 인구의 20%가 소유하는 부의 분배 구조에서 발견한 법칙 80:20 법칙이라고도 함.

 

서열 구조가 생명체의 생존과 적응에 필수적이었다는 뜻이다.

성공해야 할 이유는 분명해진다.

 

아무리 훌륭한 자질을 타고났다 해도 가만히 서 있는 자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

 

서열구조는 자연이 만들어 낸 영속적인 특성에 가깝다.

서열 구조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뇌의 영역"은 아주 오래전에 생성된, 뇌에서 가장 원초적인 부분이다.

 

서열 구조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뇌는 어떻게 망가지는 가

수면과 식사가 불규칙할 때 계산 기능이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뇌와 몸과 사회는 상호작용한다.

 

허리를 세우고 가슴을 펴야 하는 이유

감정은 대체로 몸으로 표현되고, 그 표현 때문에 증폭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선다는 것은 두 눈을 크게 뜨고 삶의 엄중한 책임을 다하겠다는 뜻이다.

 

정리 : 양성 순환고리는 부정적 혹은 긍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부정/긍정을 정하는 것은 본인의 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