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6)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11 다큐 빚의 역습 3부 감상문 시작합니다. 3부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가 일반인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해줬습니다. 2008년에 일어난 모기지 사태가 10년이 지난 2018년까지도 회복이 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외부인으로 볼 때에는 완전 옛날의 일들만 같고 현재는 전부 회복이 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당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계속해서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레버리지를 통해서 모기지를 하지 않은 즉, 채무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많은 영향이 있었습니다. 경제가 침체가 되면서 사람들은 돈을 쓰지 않고 집에서 버티기 시작합니다. 그로인해 시장에 돈이 흐르지 않게 되고 상인들도 어려워지면서 직원들을 정리하거나 가게들을 정리하기 시작합니다.  도미노처..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10 다큐 빚의 역습 2부 감상문입니다. 사람들은 합리적, 경제적인 이유로 소비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사는 아파트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더 좋은 뷰, 더 나은 인프라를 위해 개인의 경제적 여건을 넘어서는 아파트에서 살고자 합니다. 한국에서는 부동산 불패라는 단어가 지금까지도 있습니다. 이전에 계속되는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가 밑바탕이 되어 가능한 말이였습니다. 부동산 거래량이 활발하여 실제로 수익이 보장되었습니다. 당연한 수익을 위해 낮은 금리를 활용하여 대출을 받아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투자에서 투기로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부동산 금액은 무섭게 높아졌습니다. 여러가지 요인(글로벌 위기, 정부 측 부동산 투기 제재)에 의해 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이 생각했던 수익이 아닌 갚아야할 돈이..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9 이번주 과제 중 하나인 다큐 빚의 역습 1부 감상문입니다. 빚이라고 하면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행으로부터 받은 큰 돈의 대출이 빚이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빚이 어떻게 되십니까라는 질문에 주택담보대출정도로 이야기를 합니다. 영상에서 출연하신 분께서도 동일하게 말씀하십니다. 이어서 다른 빚은 없으세요?라는 질문에 "네, 다른 빚은 없는 것 같습니다."라고 답변을 하십니다. 그러나 좀 더 알아보니 할부를 통해서 차량, 집안 가전제품 등 여러가지를 구매하셨습니다. 카드할부는 빚으로 생각을 하시지 않으신겁니다. (솔직히 저는 놀랐습니다. 당연히 빚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어서 교수님들께서 간단한 실험을 보여주십니다. 현금으로 지불할 때와 신용카드로 지불할 때 소비의 크기를 비교하는 실험입니다..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8 이번 오프라인 강의 중에 기억에 남는 질문이 있었습니다.(사실 제가 질문하고 싶었던 것이였는데 다른 분이 먼저 해주셨습니다.) 질문 내용 : 청년도약계좌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요약된 답변 내용 : 현 금리 상황을 보면 금리가 높은 상태입니다. 지금 중장기 채권으로 나오는걸 추천드립니다.(추가적인 설명이 있었습니다만, 기억이 다 안나네요.) 그래서 우선 비교를 위해서 핀다의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두들겨 봤습니다. 우대 금리까지 받는다는 가정하에 5.75%의 연이자율이 나오네요.총 이자는 610만원 입니다. 그런데 제가 배우는 자산배분투자는 10%를 기대하고 있습니다.청년도약계좌의 최대금액인 70만원을 가정하고 투자한다면 ISA 계좌의 경우수익금 200만원까지는 세금적용을 하지 않습니..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7 이번주에는 영화[빅쇼트]를 보고 느낀점을 적는 과제가 있습니다. 전에도 한번 본적이 있는 영화입니다.이전 감상은 금융권의 많은 무책임한 사람들로 인해서 발생한 재앙이재앙을 일으킨 원흉이 아닌 제일 약한 사람들에게 철퇴를 휘두르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영화 중간에 어려운 경제용어에 대해서 쉽게 이해시켜주기 위해 여러 요소들을 넣어준 배려도 기억에 납니다.(그때는 물론 지금도 모두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곰희스쿨을 강의를 듣고나서 이 영화를 다시보니 마치 새로운 화질로 영화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맥락으로 이해하던 내용을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되니 그 어떤 감정보다 놀라움이 컸습니다. 이전 기억에도 영화를 보고난 뒤 찝찝함과 분노가 느껴졌었는데 이번에는 당혹감과 분노가 느껴졌습니다. 저렇게..
[투자] 곰희스쿨 오프라인 강의_6 벌써 2번 째 오프라인 강의를 듣고 왔습니다.일주일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지난 수업에는 "왜 자산배분 투자를 해야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중점이었습니다. 이번 강의의 주제는 "채권"!! 기억나는대로 ... 기억이 없네 ... 메모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채권은 안전자산입니다.금리인상으로 타격을 받습니다.자산 = 자본 + 부채(타인의 자본)빚을 활용할 줄 아는 것이 현명합니다."회사가 망해도 채권을 제일 먼저 갚습니다."공채는 워낙 안전하여 이것저것 모두 괜찮습니다.회사채를 산다면 공부와 선별이 필요합니다. 금리가 높을 때는 높은 이자를 받기위해 고금리 채권(단/중기채)을 사거나,금리인하에 배팅하여 폭락하는 채권(장기채)을 구매합니다. 채권이라는 이름아래 있지만 같은 것인지 헷갈릴 정도로 다릅니다. ..
[투자] 곰희스쿨 9기 오프라인 강의_5 과제 중 하나인 책읽고 감상문을 작성해봅니다. 돈, 돈 오로지 돈! 생각보다 인상이 깊었는지 아니면 요즘 제 머릿속에 가득찬 생각인지 연필로 표시도 해두었습니다. 과제로 제시해준 3가지 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2.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3. 월가의 영웅 1번은 예전에 읽어보았고 2, 3 번 중에 고르려고 했는데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찾아보니 2번 책이 비교적 저렴하여 2번을 골랐습니다. (3번은 26,000원 … ) 솔직히 재밌는 책은 아니지만 투자에 대해 배우고 싶은 이에게는 도움이 되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내가 필요하다는 뜻, 그리고 한번에 머리에 다 들어오지도 않았고 2,3 번은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의 일들과 작가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 곰희스쿨 9기 오프라인 강의_4 강의 과제 중에 다큐 시청이 있습니다.1. https://youtu.be/FUXT_m6nzhg?si=jTBxKLL0rwTy0ixo2. https://youtu.be/JswklI5vrBk?si=EIYogvfJmOHcL69A 1 부에서는 돈, 자본주의에 대한 바탕이 되는 이야기였다면 2 부는 소비심리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1부 정리 1. 수요와 공급이 다가 아니다.2. 물가가 높아진다? 돈의 양이 많아졌다!3. 모든 돈은 신용(빚)이다.4. 통화 팽창(인플레이션)5.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진다. 계속 불어나기 때문이다.6. 물가가 높아지면 기준금리를 낮추고 효과가 없으면 양적완화를 한다.(통화증가)7. 빚 보존의 법칙- 빚을 갚으려면 남의 돈을 가져와야한다.- 자본주의는 경쟁이 바탕(나의 돈을 갚으려면 다른..